삼한 시대 |
- 마한 54개국의 하나인 지침국에 속하였을 것으로 추정
|
삼국 시대 |
- 초기에는 백제에 속하였고 뒤에 고구려의 영토가 되어 잉홀현[문무왕(661~680) 서원경(현 청주)의 잉홀현]
- 신라 경덕왕 16년(757) 음성현으로 개칭 한주 흑양군(현 진천군)에 속함
|
고려 시대 |
- 성종 14년(995) 중원도 충주부 음성현
- 현종 9년(1018) 양광도 충주목 음성현
- 공민왕 5년(1356) 양광도 충주부 음성현
|
조선 시대 |
- 태종 13년(1413) 충청도 충주목 음성현
- 선조 25년(1592) 음성현 폐지 청안현에 편입
- 광해군 10년(1618) 음성현으로 복현
- 현종 3년(1662) 괴산군에 병합 폐현
- 개국 504년 칙령 제98호(1895. 5. 26.), 제101호로 충청도 충주부 음성군으로 개칭
- 건양원년(1896) 칙령 제36호로 충청북도 음성군으로 개칭
- 광무 10년(1906) 칙령 제49호에 의한 지방행정구역 정리로 충주군 소속 13개면 이입
|
일제 강점기 |
- 조선총독부령 제111호(1913.12.29. 공포)로 충주군 소속의 소파면, 사이포면(현 소이면) 이입
- 도령고시 제29호(1914)에 의한 부,군,면 통합으로 17면에서 9면이 됨
|
1956. 7. 8 |
- 법률 제393호(1956. 7. 8. 공포)로 음성면이 읍으로 승격(1읍 8면)
|
1973. 3. 12 |
- 대통령령 제6542호(1973.3.12.)로 생극면 도신리 일부를 금왕면으로 편입하고,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무수 부락
일부를 음성읍으로,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를 소이면에 편입
- 대통령령 제6543호(1973.3.12. 공포)로 금왕면이 읍으로 승격하여 2읍7면이 됨
|